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험의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by 리치윤윤 2023. 4. 22.
반응형

시험은 이루어진 교육의 결과를 확인하는 기능도 있지만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시험은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선발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학력의 사회적 가치가 높은 '학력 사회'에 있어서는 시험이 결과적으로 사회적 선발의 핵심 기제가 되므로, 그것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는 대단히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시험이 실제로 발휘하고 있는 교육적, 사회적 기능을 관리와 통제 없이 그대로 방치해두면 '시험에 지배당하는 교육'에서 헤어날 수 없습니다. 시험이 실제로 수행하는 역할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것을 교육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시험의 기능을 분석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시험의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시험의 교육적 기능 

시험의 교육적 기능은 다양합니다. Montgomery(1978)는 시험을 교수와 학습 과정의 핵심적 부분이라고 규정했으며, 그 기능을 여섯 가지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① 자격 부여, ② 경쟁 촉진, ③ 선발, ④ 목표와 유인, ⑤ 교육과정 결정, ⑥ 학습 성취의 확인과 미래 학습의 예언 등입니다. Montgomery가 제시한 요인 중 가장 강조한 것은 '선발'과 '학습 성취의 확인과 미래학습의 예언'입니다. 입시 위주인 우리나라는 과열경쟁으로 인해 교육 전체가 비교육적인 상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시험에 나오는 것만 가르치고 배우는 문제 때문에 시험이 교육과정을 결정하는 전도된 상황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아시아지역 유네스코보고서(APEID, 1978)에 따르면 시험의 순기능으로, ① 질적 수준을 유지한다. ② 학교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③ 단계별로 이수해야 할 최저 학습 수준을 지시한다. ④ 교수의 개별적 평가가 범할 수 있는 편견에서 탈피할 수 있다. 또한 시험의 역기능으로, ① 암기력을 주로 테스트한다. ② 교육과정의 일부분만을 다룬다. ③ 선택적 학습과 선택적 교수를 부추긴다. ④ 시험 기간에 공부를 집중시켜 정상적 공부 습관을 약화다. ⑤ 시험의 결과가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중요해짐에 따라, 학생들의 불안감을 조성하고 시험에 관련된 사람에게 비정상적 행위를 유발한다. ⑥ 교육과정, 교수 방법 등에 관한 교육개혁을 가로막는다.

시험은 교육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순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비교육적 기능도 가지고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시험으로 인한 각종 스트레스, 두통, 복통, 가출, 자살 등이 발생하고, 정신적·정서적 불안이 육체적인 질병까지도 가져온다(김신일, 1999). 시험은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 학부모, 학교 행정가들에게도 온갖 비교육적이거나 비정상적인 부조리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성적을 높이려고 소위 커닝과 같은 부정행위를 저지르거나 뇌물, 청탁, 시험문제 유출, 답안지 조작, 성적 부풀리기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합니다(장재천, 2018).

시험의 사회적 기능 

우리나라의 대학 입학 선발을 위한 시험은 사회적 관점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선발의 의미로서 시험은 방법, 내용, 절차, 측정방식 등 여러 성격에 따라서 전체 사회의 성격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시험은 그것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기능이 있기 때문에 교육적 기준에 의해서만 좌우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각종 시험은 정치적인 요인, 경제적·기능적·문화적 기준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정치적 변화가 시험의 제도와 방법, 내용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여러 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처럼 시험은 정치, 경제, 문화의 지배를 받지만, 사실 양자의 관계는 상호적입니다. 또 시험은 사회의 어떤 특성을 존속 또는 강화할 수 있고, 반대로 약화 및 소멸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시험은 아주 중요한 사회적 기제의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시험의 사회적 기능을 정리해보면 첫째, 사회적 선발기능입니다. 이는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공교육제도가 등장하면서 아주 뚜렷해진 기능이지만, 이미 옛날 중국과 한국의 과거제도가 이런 역할을 했었습니다. 즉, 과거제도라는 시험을 통하여 지배 엘리트를 충원한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대학입시의 위력은 절대적입니다. 대학 입학시험은 결과적으로 사회적 지위획득으로 연결되어 사회적 선발기능을 수행합니다. 더군다나 학교에서 실시되는 일상적인 시험도 사회적 선발의 기능을 갖습니다. 둘째, 지식의 공식화와 위계화 기능입니다. 시험에 출제되는 지식과 그렇지 않은 지식 사이에 자연스레 위계화가 이루어집니다. Bourdieu(1977)는 "시험이 학문적으로 무엇이 가치가 있으며 교육제도가 선택적으로 가르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가장 극명하게 표출시키지만, 지식의 사회적 의미 규정과 표현방식을 학교 시험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강요함으로써 지배문화와 지배문화의 가치관을 주입하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셋째, 사회통제기능입니다. 지식뿐만 아니라 규범과 가치관 전체를 통제함으로써 사회를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됩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독재체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서 흔히 하는 일이 지식과 규범을 통제하는 일입니다. 지식과 규범을 통제한다는 것은 사고방식과 행동을 통제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시험은 지식과 규범의 기본적인 통제기제입니다. 넷째, 기존 사회질서의 정당화와 재생산기능입니다. 정답을 고르는 문제는 모두가 기존 사회질서의 규범과 가치에 부합되는 것을 골라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가 이미 지배문화이고 또 그것은 지배문화를 정당화하는 것이며 재생산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학교가 이미 역사적으로 지배층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어서 학교는 지배문화를 대변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섯째, 문화의 형성과 변화의 기능입니다. 어떤 형태의 시험에서든 객관식, 즉 사지선다형, 오지선다형들은 개방적인 가능성이 전혀 없는 오로지 출제자가 규정한 조건을 파악하고, 그 조건 안에서 정답을 고르도록 유도하는 것뿐입니다. 특정한 관점만 허용되고 수험생의 다양한 관점과 가능성은 전적으로 무시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사고방식을 제한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성격을 배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흑백 논리는 지적 풍토를 황폐화하고 정신적 폐쇄성을 양성할 뿐입니다. 시험은 그 자체가 교육입니다. 교육의 결과를 단순히 확인하는 작업만이 아닙니다. 시험의 내용과 방법에 내재해 있는 교육적인 기능은 교육으로 끝나지 않고 사회의 질서, 사회의 통제, 사회의 문화적인 풍토 등을 유지 또는 변화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시험의 내용과 방법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시험제도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사회적 기능을 밝히기 위하여 교육 사회학적인 폭넓은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